'만약 그때 다른 선택을 했더라면...' <지금은맞고그때는틀리다>
본문 바로가기

영화

'만약 그때 다른 선택을 했더라면...' <지금은맞고그때는틀리다>

728x90
반응형
SMALL

■ 작품 개요 및 줄거리: 동일한 상황이 두 가지 다른 방식으로 전개되면서 일어나는 일

 

* 작품 개요

< 지금은맞고그때는틀리다 (Right Now, Wrong Then, 2015)>는 2015년 개봉한 홍상수 감독의 17번째 장편 영화로, 정재영과 김민희가 주연을 맡았습니다. 제68회 로카르노 국제 영화제에서 최고상인 황금표범상을 수상하며 전 세계적으로 작품성을 인정받았습니다. 홍상수 감독 특유의 미니멀한 연출과 즉흥적인 대사, 반복과 변주를 통한 섬세한 감정 묘사가 돋보이는 작품입니다. 영화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며, 동일한 상황이 두 가지 다른 방식으로 전개되면서 관계의 진실과 소통의 어려움을 탐구합니다.

 

감독: 홍상수

출연: 정재영, 김민희, 윤여정, 기주봉, 최화정, 유준상, 서영화, 고아성 등

장르: 드라마

등급: 청소년 관람불가

러닝타임: 121분

 

동일한 상황을 두 가지 다른 방식으로 반복하며 인간관계의 복잡성을 깊이 탐구한 영화 &lt;지금은맞고그때는틀리다&gt;.
동일한 상황을 두 가지 다른 방식으로 반복하며 인간관계의 복잡성을 깊이 탐구한 영화 <지금은맞고그때는틀리다>.

 

* 줄거리
영화감독 함춘수(정재영)는 수원 행궁동을 방문합니다. 그는 우연히 아름다운 화가 윤희정(김민희)을 만나게 되고, 두 사람은 함께 시간을 보내게 됩니다. 영화는 이들의 하루를 두 가지 버전으로 보여줍니다.


-첫 번째 이야기: 그때는 틀렸다
춘수는 희정에게 첫눈에 반하고, 솔직하면서도 때로는 조심스러운 태도로 그녀에게 다가갑니다. 희정의 작업실에서 그림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고, 함께 초밥을 먹고, 술을 마시며 서로에 대해 알아갑니다. 춘수는 자신의 삶과 결혼에 대해 솔직하게 이야기하지만, 희정은 그의 태도에서 어딘가 불편함을 느끼고 경계합니다. 술자리에서 춘수는 자신의 결혼 사실을 숨기지 않고 드러내지만, 그 과정에서 희정은 실망하고 자리를 떠납니다. 춘수의 진솔함이 오히려 관계를 망치는 결과를 낳게 됩니다.


-두 번째 이야기: 지금은 맞고
첫 번째 이야기와 동일한 상황이 반복되지만, 춘수의 태도는 미묘하게 달라집니다. 춘수는 희정에게 좀 더 따뜻하고 부드럽게 말을 건네고, 그녀의 작업과 삶에 대해 진심으로 관심을 보입니다. 희정 역시 춘수에게 마음을 열고, 두 사람의 대화는 훨씬 더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이어집니다. 함께 초밥을 먹고, 술을 마시는 과정에서 춘수는 여전히 자신의 결혼 사실을 밝히지만, 이번에는 희정이 그의 솔직함에 오히려 감동을 받습니다. 다음날, 춘수는 희정이 참석하는 영화 상영회에 찾아가고, 두 사람은 서로를 향한 미련과 아쉬움 속에서 각자의 길을 갑니다.


두 이야기는 '만약 그때 다른 선택을 했더라면'이라는 가정 아래, 동일한 상황이 얼마나 다른 결과를 낳을 수 있는지 섬세하게 보여줍니다. 영화는 관계에서 진실과 태도가 얼마나 중요한지, 그리고 사소한 차이가 관계의 흐름을 어떻게 바꾸는지 깊이 있게 성찰하게 합니다.

 

■ 주제: 진실보다 그 진실을 전달하는 '방식'이 관계에 더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홍상수 감독의 영화 <지금은맞고그때는틀리다>는 동일한 상황을 두 가지 다른 방식으로 반복하며 인간관계의 복잡성을 깊이 탐구합니다. 이 영화의 핵심 주제를 다음과 같이 생각해 보았습니다.


1. 반복과 변주를 통한 관계의 진실 탐구
영화는 두 개의 에피소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영화감독 함춘수와 화가 윤희정이 만나는 하루의 이야기가 두 번 반복됩니다. 첫 번째 에피소드에서는 춘수의 솔직함이 오히려 상대방에게 상처를 주고 관계를 틀어지게 만듭니다. 반면, 두 번째 에피소드에서는 춘수의 태도와 말이 미묘하게 달라지면서 두 사람의 관계가 훨씬 부드럽게 흘러갑니다. 이 반복과 변주는 '만약 그때 다른 선택을 했더라면'이라는 질문을 던집니다. 이를 통해 감독은 관계의 진실이란 고정된 것이 아니라, 매 순간의 태도와 선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같은 상황이라도 작은 변수가 전체의 흐름을 완전히 바꿀 수 있다는 것을 섬세하게 묘사합니다.


2. 소통의 방식과 진실의 의미
영화는 '진실을 말하는 것'과 '진실을 어떻게 말하는가' 사이의 간극을 파고듭니다. 첫 번째 에피소드에서 춘수는 자신의 결혼 사실을 솔직하게 말하지만, 그 방식은 투박하고 이기적이었습니다. 이로 인해 희정은 그의 '진실'을 경솔하고 무례하다고 받아들입니다. 그러나 두 번째 에피소드에서 춘수는 같은 진실을 훨씬 더 조심스럽고 따뜻하게 전달합니다. 그는 희정을 존중하는 태도를 보이며, 자신의 이야기가 희정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 고려합니다. 이처럼, 영화는 진실 자체가 중요하기보다 그 진실을 전달하는 '방식'이 관계에 더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진실은 단순한 사실이 아니라, 상대방과 교감하려는 태도에서 완성되는 것입니다.


3. 삶의 우연과 우연의 미학
영화는 춘수와 희정의 만남이 우연히 시작된 것처럼, 우리 삶이 수많은 우연들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춘수가 희정을 우연히 만나지 않았더라면, 그들의 특별한 하루는 존재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 우연이 만들어낸 만남 속에서 그들의 감정은 현실이 되고, 작은 선택들이 모여 관계의 방향을 결정합니다. 홍상수 감독은 이 우연의 연속 속에서 발생하는 삶의 아름다움과 그 안에서 벌어지는 인간적 교감을 포착합니다. 이는 우연처럼 보이는 순간들이 사실은 삶의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4. 사랑과 관계의 모호성
<지금은맞고그때는틀리다>는 낭만적인 사랑을 명확하게 정의하지 않습니다. 춘수와 희정의 관계는 하룻밤의 짧은 만남이었지만, 그 속에는 설렘, 실망, 안타까움 등 복잡한 감정들이 뒤섞여 있습니다. 영화는 그들의 관계가 사랑이었는지, 단순한 호감이었는지 명확하게 결론 내리지 않습니다. 오히려 그 모호함 자체가 삶과 관계의 본질임을 보여줍니다. 특히 두 번째 에피소드에서 서로에게 더 호감을 느끼지만 결국 각자의 길을 가는 결말은, 모든 관계가 완전하게 완성되거나 해소되는 것이 아님을 보여줍니다. 사랑은 하나의 완결된 이야기가 아니라, 매 순간의 감정과 태도에 따라 변하는 유동적인 상태임을 강조합니다.

 

반응형

■ '일상과 우연의 미학' 홍상수 감독 영화의 특징 및 작품 목록

 

* 홍상수 감독 영화의 특징 


1) 반복과 변주: 홍상수 감독의 영화는 동일한 상황이나 대사가 다른 방식으로 반복되는 서사 구조를 자주 사용합니다. 이를 통해 인물 관계의 모호성과 삶의 우연성을 탐구합니다. 특히 영화 <지금은맞고그때는틀리다>처럼 두 개의 에피소드로 나누어 보여주는 구성은 그의 대표적인 작법 중 하나입니다.
2) 일상적 대화와 술자리: 그의 영화에서 인물들은 카페나 식당, 술자리에서 끊임없이 대화합니다. 이 대화는 얼핏 평범해 보이지만, 인물들의 내면적 갈등, 욕망, 그리고 위선을 드러내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술자리는 인물들의 솔직한 감정을 폭로하는 공간으로 자주 활용됩니다.
3) 롱테이크와 줌인: 홍상수 감독은 편집을 최소화하고 하나의 숏을 길게 가져가는 롱테이크 기법을 선호합니다. 또한, 인물의 표정이나 상황의 미묘한 변화를 포착하기 위해 갑작스러운 줌인을 자주 사용합니다. 이러한 연출 방식은 마치 관객이 숨어서 인물들을 관찰하는 듯한 느낌을 주며, 영화의 리얼리티를 높입니다.
4) 즉흥성과 미니멀리즘: 홍상수 감독은 촬영 당일 아침에 대본을 작성하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이러한 즉흥적인 제작 방식은 배우들의 자연스러운 연기를 유도하고, 극적인 사건보다는 인물들의 심리와 관계의 섬세한 변화에 집중하게 합니다. 소수의 스태프와 저예산으로 제작되는 미니멀리즘적인 경향도 그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 홍상수 감독 주요 작품 목록


<1> 1990년대: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1996), <강원도의 힘>(1998), <오! 수정>(2000)
<2> 2000년대: <생활의 발견>(2002), <여자는 남자의 미래다>(2004), <극장전>(2005), <해변의 여인>(2006), <밤과 낮>(2008), <잘 알지도 못하면서>(2009), <하하하>(2010), <옥희의 영화>(2010)
<3> 2010년대: <북촌방향>(2011), <다른 나라에서>(2012), <누구의 딸도 아닌 해원>(2013), <우리 선희>(2013), <자유의 언덕>(2014), <지금은맞고그때는틀리다>(2015), <당신 자신과 당신의 것>(2016), <밤의 해변에서 혼자>(2017), <그 후>(2017), <클레어의 카메라>(2017), <풀잎들>(2018), <강변호텔>(2018)
<4>2020년대: <도망친 여자>(2020), <인트로덕션>(2021), <당신 얼굴 앞에서>(2021), <소설가의 영화>(2022), <탑>(2022), <물안에서>(2023), <우리의 하루>(2023), <여행자의 필요>(2024), <수유천>(2024), <그 자연이 네게 뭐라고 하니>(2025)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