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울하고 폭력적인 분위기 속 희망과 문명 재건의 메시지! <매드 맥스 3>
본문 바로가기

영화

암울하고 폭력적인 분위기 속 희망과 문명 재건의 메시지! <매드 맥스 3>

728x90
반응형
SMALL

■ 작품 개요 및 줄거리: 맥스는 썬더돔에서 블래스터를 상대로 결투를 벌이지만...

 
* 작품 개요
<매드 맥스 3: 썬더돔 (Mad Max Beyond Thunderdome, 1985)>은 조지 밀러와 조지 오가일비가 공동 연출하고 멜 깁슨이 주인공 '맥스 로카탄스키' 역을 맡은 포스트 아포칼립스 액션 영화입니다. 이 영화는 전작들에 이어 핵전쟁 이후 황폐해진 미래를 배경으로 합니다. 시리즈의 세 번째 작품으로, 암울하고 폭력적인 분위기 속에서도 희망과 문명 재건의 메시지를 담고 있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감독: 조지 밀러, 조지 오가일비
주연: 멜 깁슨 (맥스 로카탄스키), 티나 터너 (엔티티 여왕), 헬렌 버데이, 프랭크 드링 등
장르: 포스트 아포칼립스, SF액션
등급: 15세 이상 관람가
러닝타임: 108분
 

핵전쟁 이후 황폐해진 미래를 배경으로 하는 시리즈 세 번째 작품인 <매드 맥스 3>.
핵전쟁 이후 황폐해진 미래를 배경으로 하는 시리즈 세 번째 작품인 <매드 맥스 3>.



* 줄거리
황량한 사막을 홀로 떠돌던 맥스 로카탄스키는 정체불명의 비행체에 자신의 모든 소지품과 차량을 빼앗기게 됩니다. 맥스는 그들을 추적하다가 폐허가 된 도시 위에 세워진 독특한 문명 사회인 '바터타운(Bartertown)'에 도착합니다.

바터타운은 절대 권력자 '엔티티 여왕(Aunty Entity)'이 지배하는 곳으로, 그곳의 질서는 에너지원인 메탄가스 생산과 '썬더돔(Thunderdome)'이라는 원형 경기장의 결투를 통해 유지됩니다. 엔티티 여왕은 맥스에게 메탄가스 생산을 담당하는 마스터 블래스터 팀을 제거해 주는 대가로 그의 차량과 소지품을 돌려주겠다고 제안합니다.

맥스는 썬더돔에서 블래스터를 상대로 결투를 벌이지만, 블래스터가 어린아이 수준의 지능을 가졌다는 사실을 알고 마지막 일격을 주저합니다. 이로 인해 맥스는 엔티티 여왕의 명령을 어긴 죄로 사막에 추방됩니다.

사막을 헤매던 맥스는 핵전쟁 이전에 비행기 추락 사고로 부모를 잃고 고립된 채 살아온 아이들의 은신처를 발견합니다. 이들은 맥스를 자신들을 구하러 온 전설 속의 영웅으로 착각합니다. 맥스는 아이들의 요청을 거절하고 다시 떠나려 하지만, 몇몇 아이들이 바터타운을 '내일의 땅'이라 믿고 찾아가려 하자 어쩔 수 없이 그들을 돕게 됩니다.

맥스는 아이들을 이끌고 바터타운으로 돌아가고, 엔티티 여왕의 군대와 맞서 싸우며 추격전을 벌입니다. 맥스는 아이들을 탈출시키기 위해 희생적인 행동을 감행하고, 아이들은 결국 핵전쟁 이전 문명의 흔적이 남아있는 폐허 도시에 정착하여 새로운 공동체를 형성하게 됩니다. 맥스는 다시 홀로 황무지를 떠도는 길을 선택하며 이야기는 마무리됩니다.

https://www.mydaily.co.kr/page/view/2025102906232077573#_PA

"하룻밤 보낸 후 '시시해'" 최다니엘, 연인에게 들은 최악의 말 [돌싱포맨]

배우 최다니엘./SBS '돌싱포맨'...

www.mydaily.co.kr


 

■ 주제: 인간성이 여전히 폭력적인 환경 속에서도 정의의 중요한 기준 제시

 
영화 <매드 맥스 3: 썬더돔>은 단순한 액션을 넘어 핵전쟁으로 파괴된 세계에서 인류의 문명과 본질에 대한 깊은 질문을 던집니다. 다음은 이 영화가 다루는 주요 주제 네 가지를 생각해 봤습니다.

(1) 문명의 퇴보와 통제된 사회의 모습
<매드 맥스 3>는 포스트 아포칼립스 시대에 인류가 퇴보한 두 가지 형태의 문명을 보여줍니다.
• 바터타운(Bartertown): 이곳은 독재자 엔티티 여왕에 의해 '힘이 곧 법'으로 통용되는 통제 사회입니다. 메탄가스를 에너지원으로 삼고, '썬더돔'이라는 폭력적인 결투 시스템으로 질서를 유지합니다. 이는 극단적인 자본주의와 원시적인 폭력이 혼합된 형태로, 문명이 붕괴한 후 인간이 어떻게 권력과 자원을 중심으로 퇴화할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 어린아이들의 은신처: 반면, 이곳은 문명의 기억만 간직한 채 살아가는 아이들의 공동체로, 순수함과 원시적인 희망을 상징합니다. 이들은 과거의 영웅 '캡틴 워커' 전설을 믿으며 맥스를 구원자로 오인합니다. 이는 문명이 물질적으로 파괴되더라도, 인간의 근원적인 구원자와 희망에 대한 갈망은 남아있음을 보여줍니다.

(2) 영웅의 역할과 책임
주인공 맥스는 스스로를 영웅이라 생각하지 않으며, 단지 홀로 생존하려는 이방인입니다. 그는 아이들의 공동체에 대한 개입을 끊임없이 거부합니다.
• 하지만, 블래스터를 죽이는 것을 거부하고 사막으로 추방되거나, 아이들이 '내일의 땅'을 찾아가려는 것을 막으려다 결국 그들의 리더가 되는 과정은 맥스가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그의 도덕적 의무와 영웅적 역할을 수행하게 됨을 나타냅니다. 그는 공동체를 직접 재건하는 리더가 아닌, 새로운 희망을 품은 아이들을 문명으로 안내하는 '길잡이'로서의 역할을 합니다.

(3) 희망과 문명 재건의 가능성
영화는 궁극적으로 인류에게 희망이 남아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 핵전쟁을 경험하지 않은 아이들은 미래를 상징합니다. 이들은 과거의 기억과 이야기(전설)를 통해 새로운 도시를 건설하려는 의지를 갖습니다. 영화의 결말에서 아이들이 폐허가 된 도시에서 불을 밝히고 자신들의 이야기를 전설로 만들어가는 모습은, 폭력적인 구질서(바터타운)를 극복하고 새로운, 더 나은 문명이 재건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4) 폭력과 정의에 대한 질문
'썬더돔'의 구호인 "들어갈 때는 둘, 나갈 때는 하나(Two men enter, one man leaves)"는 바터타운의 잔혹한 질서를 상징합니다.
• 영화는 '썬더돔'이라는 극단적인 폭력 시스템을 통해 혼돈 속에서 정의가 어떻게 확립되는가에 대한 질문을 던집니다. 맥스는 썬더돔의 규칙(결투)은 따르지만, 블래스터를 죽여야 하는 불의한 명령에는 불복함으로써, 인간성이 여전히 폭력적인 환경 속에서도 정의의 중요한 기준임을 보여줍니다. 그의 행동은 새로운 공동체에게 도덕적 기준을 전파하는 시작점이 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