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품 개요 및 줄거리: 일본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우수 작품상을 비롯한 6개 부문을 수상
* 작품 개요
<세 번째 살인(The Third Murder)>은 2017년 개봉한 일본 영화로,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이 각본과 연출을 맡았습니다. 감독의 기존 작품들이 따뜻한 시선으로 가족의 사랑과 소통을 그려왔던 것과 달리, 이 작품은 법정 스릴러라는 새로운 장르에 도전하며 감독의 변화를 보여주었습니다.
감독: 고레에다 히로카즈
출연: 후쿠야마 마사하루, 야쿠쇼 코지, 히로세 스즈, 사이토 유키, 요시다 코타로 등
장르: 서스펜스, 드라마
등급: 15세 이상 관람가
러닝타임: 125분

* 줄거리
영화의 주인공 '시게모리 토모아키'는 냉철하고 현실적인 엘리트 변호사입니다. 그의 아버지는 유능한 변호사였지만, 불필요하게 인간적인 정에 휘둘려 패소하는 모습을 보이곤 했습니다. 시게모리는 그런 아버지와 달리 철저히 승률에만 집중하며 살아왔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그는 해고된 공장 사장을 살해하고 사체를 소각한 혐의로 기소된 '미스미 타카시'의 변호를 맡게 됩니다. 미스미는 이미 30년 전에도 살인죄로 복역한 전과가 있는 인물로, 자신의 죄를 순순히 인정하며 사형을 구형받을 위기에 놓여있습니다.
시게모리는 미스미가 사건의 모든 것을 순순히 인정하며 수사를 쉽게 만들자, 그가 이전에 저지른 살인 사건을 조사해 미스미의 무죄를 입증하고자 합니다. 하지만 미스미는 사건의 진술을 번복하고, 거짓말을 하기도 하며 시게모리에게 혼란을 줍니다. 미스미는 왜 살인을 저질렀는지, 그리고 왜 진실을 말하지 않는지 시게모리는 알 수 없습니다. 미스미의 진술이 계속해서 바뀌고, 사건에 얽힌 인물들의 증언이 미스미의 진술과 엇갈리면서 진실은 점점 미궁 속으로 빠져듭니다.
결국 이 영화는 누가 살인을 저질렀는지, 그리고 진실이 무엇인지에 초점을 맞추는 대신 '진실을 밝히는 것이 과연 어떤 의미가 있는가'에 대한 질문을 던집니다. 법정에서 밝혀지는 진실은 과연 전부일까요? 각자의 입장에서의 진실은 무엇일까요? 영화는 관객들에게 '정의란 무엇인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며 진실을 재구성하고 판단하는 과정의 허술함을 보여줍니다.
이 작품은 제74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경쟁 부문에 초청받았으며, 일본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우수 작품상을 비롯한 6개 부문을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습니다.
https://www.mydaily.co.kr/page/view/2025091205111412532#_PA
"아내에게 금고 키, 통장 다 줘라"… '4혼' 박영규, 김종국에게 조언
배우 박영규(오른쪽)가 '초혼' 김종국에게 결혼 선배로서 조...
www.mydaily.co.kr
■ 주제: '진실', '정의', '죄와 속죄', '인간관계의 허상'이라는 주제를 심도 있게 다뤄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영화 <세 번째 살인>은 법정 스릴러의 형식을 빌려 다양한 사회적, 철학적 주제를 탐구합니다. 단순한 살인 사건의 진실 공방을 넘어, '진실', '정의', '죄와 속죄', '인간관계의 허상'이라는 네 가지 주요 주제를 심도 있게 다룹니다.
주제 1: 진실의 상대성과 허상
영화는 ‘진실’이 과연 절대적인 것인지 질문을 던집니다. 변호사 시게모리는 사건의 진실을 밝혀 미스미를 구하고자 하지만, 미스미의 진술은 계속해서 바뀝니다. 심지어 그는 "진실은 의미가 없다"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이는 법정에서 밝혀지는 ‘진실’이 결국 진실의 한 조각에 불과하며, 각자의 이해관계와 시각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미스미에게는 자신의 삶과 죄에 대한 속죄가, 피해자의 가족에게는 응징이, 변호사에게는 승리가 진실보다 더 중요할 수 있습니다. 영화는 '팩트'만이 진실이 아니며, 진실은 다면적이고 상대적인 것임을 끊임없이 상기시킵니다.
주제 2: 법과 정의의 괴리
<세 번째 살인>은 ‘정의’가 반드시 법정의 판결과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지적합니다. 시게모리 변호사는 승소를 위해 사건의 진실을 조작하거나 축소하려 합니다. 그에게 정의란 의뢰인을 변호하여 승리를 쟁취하는 것이지, 반드시 진실을 밝히는 것이 아닙니다. 미스미는 사형을 구형받아 마땅하다고 스스로 말하지만, 이것이 과연 정의로운 결과인가요? 영화는 사법 시스템이 인간의 복잡한 내면과 죄의 본질을 완벽하게 담아낼 수 없으며, 때로는 법의 테두리 안에서 정의가 왜곡되거나 소외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주제 3: 죄와 속죄의 의미
영화는 ‘죄와 속죄’에 대해 깊이 고찰합니다. 미스미는 자신이 두 번째 살인을 저질렀다고 순순히 인정하며 사형을 원하ㅣ니다. 이는 30년 전의 죄에 대한 속죄인지, 혹은 또 다른 이유 때문인지 모호하게 그려집니다. 그는 과거의 죄를 짊어진 채로 살아가는 인물이며, 그에게 있어 죽음은 속죄의 한 방식일 수 있습니다. 반면, 공장 사장을 죽였다고 믿는 미사키의 아버지나, 혹은 미스미를 변호하는 시게모리 역시 각자의 방식으로 죄와 관련되어 있습니다. 영화는 단순히 살인이라는 물리적 행위만이 죄가 아니라, 방관, 외면 등 보이지 않는 죄도 존재하며, 속죄는 단순한 형벌 이상의 개인적인 고통과 책임임을 드러냅니다.
주제 4: 인간 관계의 단절과 소통의 부재
영화는 등장인물들의 관계를 통해 '인간관계의 허상과 소통의 부재'를 보여줍니다. 시게모리와 그의 아버지, 그리고 시게모리와 그의 딸의 관계는 모두 단절되어 있습니다. 그들은 서로를 이해하지 못하고, 솔직한 대화를 나누지 않습니다. 미스미와 그의 가족, 그리고 미스미와 그를 변호하는 변호사 사이의 관계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미스미의 내면은 누구도 온전히 이해하지 못합니다. 그들은 각자의 고독한 세계에 갇혀 있으며, 이는 결국 사건의 진실을 파악하는 데 걸림돌로 작용합니다. 이러한 관계의 단절은 진실을 온전히 파악할 수 없게 만드는 근본적인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하며, 고레에다 감독 특유의 인간에 대한 따뜻한 시선이 역설적으로 더욱 강조되는 지점입니다
■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 대표작 3편 강추!!!
1. <아무도 모른다 (2004)>
2004년 개봉한 <아무도 모른다>는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에게 칸 영화제 최연소 남우주연상(야기라 유야)이라는 영광을 안겨준 작품입니다. 이 영화는 실제로 발생했던 '스가모 아동 방치 사건'을 모티브로, 어느 날 갑자기 사라진 엄마를 기다리며 남겨진 네 명의 남매들의 이야기를 그립니다. 아침마다 몰래 이사를 가고, 학교에 다니지 못하는 등 불안정한 삶 속에서 아이들은 자신들만의 규칙을 만들며 꿋꿋하게 살아갑니다. 감독은 극적인 장치나 감정적인 호소 없이, 아이들의 일상을 건조하고 담담하게 그려내며 관객들에게 깊은 여운을 남깁니다. 소외된 아이들의 삶을 통해 가족의 의미, 사회의 무관심, 그리고 인간의 생존 본능에 대한 질문을 던집니다.
2. <걸어도 걸어도 (2008)>
<걸어도 걸어도>는 고레에다 감독의 자전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작품으로, 평범한 한 가족의 하루를 섬세하게 포착합니다. 의사인 형의 기일이 되어 오랜만에 한자리에 모인 가족들은 겉으로는 평화로워 보이지만, 각자의 속내에는 서로에게 말하지 못한 비밀과 응어리가 존재합니다. 감독은 일상적인 대화와 소소한 사건들을 통해 가족 구성원들 간의 미묘한 감정, 갈등, 그리고 사랑을 보여줍니다. '죽음'이라는 무거운 주제를 다루면서도 영화는 따뜻하고 유머러스한 분위기를 잃지 않으며, 관객들에게 가족의 의미와 소통의 중요성을 생각하게 만듭니다. 잔잔한 울림과 깊은 공감을 선사하는 고레에다 감독의 대표적인 가족 영화입니다.
3. <어느 가족 (2018)>
2018년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작인 <어느 가족>은 혈연으로 맺어지지 않은 사람들이 가족을 이루어 살아가는 독특한 이야기입니다. 좀도둑질로 생계를 이어가는 할머니, 아들, 딸, 그리고 훔친 아이로 구성된 이 가족은 가난하지만 서로를 아끼고 의지하며 살아갑니다. 이들은 사회의 기준에서 벗어난 삶을 살지만, 오히려 진정한 '가족'의 의미를 보여줍니다. 하지만 이들의 행복한 삶은 한 사건으로 인해 위기를 맞게 되고, 과연 가족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집니다. 영화는 ‘진정한 가족은 혈연인가, 아니면 마음으로 맺어진 관계인가’를 질문하며, 현대 사회에서 소외된 이들의 삶과 가족의 의미를 되돌아보게 합니다..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카혼타스>, 자신의 운명을 스스로 개척하는 주체적인 여성의 상징 (2) | 2025.09.11 |
---|---|
사회 통념에 맞서 개인의 자유로운 의지를 지키려는 병태의 투쟁, <병태와 영자> (0) | 2025.09.10 |
유대계 이민자 가정의 갈등을 다룬 세계 최초의 유성영화 <재즈 싱어>! (0) | 2025.09.09 |
<여자는 남자의 미래다>, 인생이 우연의 연속? 필연적인 작동 원리 있다! (0) | 2025.09.08 |
<K-19 위도우 메이커>, 냉전 시대 정치적 이데올로기가 인간의 생명보다 우선시되었던 현실 비판 (0) | 2025.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