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단적 상황에서 드러나는 인간의 이기심, 생존 본능! <델리카트슨 사람들>
본문 바로가기

영화

극단적 상황에서 드러나는 인간의 이기심, 생존 본능! <델리카트슨 사람들>

728x90
반응형
SMALL

■ 작품 개요 및 줄거리: 폐허가 된 도시 속, 인육을 먹는 주민들이 모여 사는 낡은 아파트 건물이 주 무대

 
* 작품 개요
1991년에 개봉한 프랑스 영화 <델리카트슨 사람들(Delicatessen)>은 장-피에르 주네(Jean-Pierre Jeunet)와 마르크 카로(Marc Caro)가 공동 연출한 블랙 코미디이자 초현실주의 영화입니다. 식량이 부족하여 황폐해진 종말론적 세계를 배경으로 하며, 독특하고 기발한 미장센, 그로테스크하면서도 유머러스한 연출이 돋보이는 작품입니다. 폐허가 된 도시 속, 인육을 먹고사는 주민들이 모여 사는 낡은 아파트 건물을 주 무대로 삼아 인간의 생존 본능과 그 속에 피어나는 로맨스를 독특한 시각으로 그려냅니다. 고립된 공간에서 벌어지는 기이한 사건들과 개성 강한 캐릭터들의 향연은 이 영화를 컬트적인 명작의 반열에 올려놓았습니다.
 
감독: 장 피에르 주네, 마르크 카로
출연: 파스칼 베네제크, 도미니크 삐농, 마리로어 더그나크, 장 클로드 드레이퍼스, 카린 비아르 등
장르: 코미디, 공포, 판타지, SF
등급: 청소년 관람불가
러닝타임: 98분
 

블랙 코미디이자 초현실주의 영화 <델리카트슨 사람들>.
블랙 코미디이자 초현실주의 영화 <델리카트슨 사람들>.



* 줄거리
세상이 황폐해져 식량을 구하기 어려운 시대, 낡은 아파트 건물의 1층에는 건물주이자 푸줏간 주인인 클라펫이 운영하는 '델리카트슨' 정육점이 있습니다. 사실 그는 외지인을 끌어들여 잡일을 시킨 뒤 살해하고 그 인육을 아파트 주민들에게 팔아 식량난을 해결하고 있습니다.

전에 일하던 인부가 사라진 후, 서커스단 광대였던 루이종(뤼종)이 새로운 잡일 인부로 건물에 들어옵니다. 루이종은 엉뚱하면서도 순수한 성격으로, 곧 클라펫의 딸인 줄리에게 호감을 느낍니다. 하지만 클라펫과 주민들은 루이종을 다음 '도살' 대상으로 여기며 호시탐탐 기회를 노립니다. 클라펫은 루이종을 죽이려 하지만, 줄리가 여러 번 루이종을 위험에서 구해줍니다. 한편, 줄리는 아버지의 정육점 비밀을 알고 있으며, 루이종을 보호하기 위해 지하 세계에 숨어 사는 채식주의자 반체제 조직인 '트로글로디테'를 찾아가 도움을 요청합니다.

아파트 주민들은 루이종의 인육을 먹기 위해 그를 죽일 음모를 꾸미고, 루이종과 줄리는 절체절명의 위기에 빠집니다. 클라펫과 주민들의 공격 속에서 두 사람은 기발한 방법으로 맞서 싸우고, 마침내 지하인간들의 도움으로 절박한 상황에서 벗어납니다. 우여곡절 끝에 사랑을 확인한 루이종과 줄리는 아파트에서의 위기를 극복하고, 희망적인 결말을 맞이합니다.

https://m.entertain.naver.com/home/article/117/0003994339

‘용준형♥’ 현아 또…살만 쪘다 하면 임신설→소속사 "사실 아니다"[MD 영상]

Copyright ⓒ 마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연예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m.entertain.naver.com


 

■ 주제: 독특한 캐릭터들을 통해 사회로부터 고립되어 광기를 드러내는 인간 군상들

영화 <델리카트슨(Delicatessen)>은 종말론적 세계관을 배경으로 독특한 미장센과 블랙 코미디를 결합하여 여러 층위의 주제를 탐구합니다. 다음은 이 영화가 던지는 네 가지 핵심 주제입니다.

1. 생존주의와 인육을 통한 풍자
<델리카트슨 사람들>은 식량 부족으로 문명이 붕괴한 디스토피아를 배경으로 합니다. 아파트 주민들이 인육을 먹고 생존하는 설정은 극단적인 상황에서 드러나는 인간의 이기심과 생존 본능을 가차 없이 보여줍니다. 이는 단순히 공포를 유발하는 것을 넘어, 자본주의 사회에 대한 통렬한 풍자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영화 속 정육점 주인 클라펫은 인육을 곡식과 물물교환하며 이 생존 시스템의 중심에 서 있습니다. 이는 인간이 인간을 착취하고 소비하는 행태가 극대화된 은유이며, 황폐해진 세상에서 '인간성'이 얼마나 쉽게 희생될 수 있는지 묻습니다. 인육 소비는 결국 인간의 상품화와 윤리의 붕괴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장치입니다.

2. 고립된 사회 속의 로맨스와 희망
황폐한 세상과 잔혹한 생존 경쟁 속에서 피어나는 루이종과 줄리의 로맨스는 영화의 가장 따뜻하고 중요한 주제입니다. 루이종은 푸줏간의 다음 희생양이 될 운명이었지만, 클라펫의 딸인 줄리는 그의 목숨을 구하기 위해 필사적으로 노력합니다. 이들의 사랑은 건물의 폐쇄적이고 잔혹한 사회 구조에 대한 저항의 상징입니다. 모든 것이 절망적인 상황에서도 이들은 서로에게 기댐으로써 순수함과 희망을 지켜냅니다. 루이종의 천진난만한 광대 기질과 줄리의 헌신적인 태도는, 비록 현실은 어둡더라도 사랑이라는 인간적 가치가 절멸하지 않음을 보여주며 관객에게 작은 위안을 전달합니다.

3. 다양한 '군상'을 통한 인간 본성의 해부
아파트 건물은 다양한 인간 군상이 모여 사는 하나의 축소된 사회입니다. 인육을 탐하는 이웃들, 자살에 집착하는 여성, 지하에 숨어 사는 채식주의자 반체제 조직(트로글로디테) 등은 각기 다른 인간의 욕망, 불안, 그리고 저항을 대변합니다. 특히, 낡은 스프링 매트리스 소리를 듣고 쾌감을 느끼는 주민이나 물탱크에서 사는 기이한 인물 등은 현실에서는 볼 수 없는 기괴한 성격을 통해 인간 내면의 부조리와 억압된 욕망을 시각적으로 구현합니다. 이처럼 영화는 독특한 캐릭터들을 통해 사회로부터 고립되어 광기를 드러내는 인간의 다양한 모습을 섬세하게 해부합니다.

4. 초현실적 미장센과 부조리극
장-피에르 주네와 마르크 카로 감독 특유의 초현실주의적이고 기발한 미장센은 영화의 주제 의식을 강화합니다. 낡고 어두운 아파트, 과장된 카메라 워크, 그리고 마치 동화 속 그림처럼 독특한 색감과 조명은 현실과 동떨어진 부조리극(Theatre of the Absurd)의 분위기를 조성합니다. 루이종이 공놀이를 할 때 발생하는 기이한 소리의 연쇄 반응처럼, 영화 속 모든 사물과 행위는 인과관계를 뛰어넘는 기계적인 연쇄 반응을 보입니다. 이는 세상이 논리와 질서를 잃은 곳이며, 생존만이 유일한 규칙이 된 혼돈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은유합니다. 이러한 스타일은 관객에게 익숙한 현실감을 배제하고, 더욱 강력하게 디스토피아적 메시지에 집중하게 만듭니다.
 

■ '환상적인 미장센과 기발한 상상력'  장-피에르 주네 감독 대표작 3편 다시 보기



1. <아멜리에> (Amélie, 2001)
장 피에르 주네 감독의 가장 대중적이고 상업적으로 성공한 대표작입니다. 몽마르트르에 사는 순수하고 엉뚱한 아멜리에가 주변 사람들의 삶에 소소한 행복을 가져다주기 위해 비밀스러운 계획을 실행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이 영화는 파리의 낭만적이고 환상적인 이미지를 극대화한 영상미가 특징입니다. 밝고 선명한 붉은색과 녹색을 중심으로 한 독특한 색감, 빠르고 기발한 편집, 동화 같은 상상력이 가득한 연출로 관객을 사로잡았습니다. 아멜리에의 '착한 사명'은 이기적인 세상에 지친 현대인들에게 따뜻한 위로와 희망을 전하며, 고독과 소통이라는 주제를 유쾌하게 풀어냅니다. 영화는 프랑스 영화의 붐을 일으켰으며, 아카데미상 5개 부문에 노미네이트 되었습니다.

2. <잃어버린 아이들의 도시> (The City of Lost Children, 1995)
장 피에르 주네와 마르크 카로 감독이 <델리카트슨 사람들>에 이어 공동 연출한 작품으로, 스팀펑크와 어두운 판타지의 세계관을 선보입니다. 과학자가 아이들의 꿈을 훔쳐 영원히 살고자 하는 디스토피아 도시를 배경으로, 잃어버린 동생을 찾아 나선 전직 서커스 단원 '원'의 여정을 그립니다.
영화는 퇴폐적이고 그로테스크한 미장센으로 가득 차 있으며, 마치 악몽 속을 걷는 듯한 강렬한 시각적 충격을 선사합니다. 복제 인간, 사이보그, 신체 개조 등 기괴한 요소들이 가득한 초현실적인 세계를 창조하여, 과학의 윤리와 인간성이라는 무거운 주제를 기발하게 탐구합니다. 주네 감독 특유의 기계적인 움직임과 디테일한 세트 디자인은 영화를 하나의 거대한 움직이는 예술 작품처럼 보이게 합니다.

3. <에이리언 4> (Alien Resurrection, 1997)
장 피에르 주네 감독이 할리우드에서 연출한 블록버스터 SF 호러 영화로, 시리즈의 네 번째 작품입니다. 에이리언과의 숙명적인 싸움 끝에 사망했던 리플리가 복제되어 부활하고, 그녀의 몸에서 태어난 새로운 에이리언과 맞서 싸우는 이야기를 다룹니다.
주네 감독은 이 거대한 프랜차이즈에 자신만의 독특하고 기이한 스타일을 불어넣었습니다. 이전 시리즈와는 차별화되는 어둡고 병적인 분위기와 괴이한 캐릭터 디자인을 선보였으며, 특히 리플리의 복제 과정과 인간-에이리언의 혼종은 생명 윤리와 정체성에 대한 질문을 던집니다. 폐쇄된 우주선 내부를 배경으로 한 공포와 액션은 여전하지만, 주네 특유의 과장된 카메라 앵글과 비정형적인 인물들이 영화에 강렬한 개성을 부여하며 시리즈에 신선한 충격을 주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